<
데이터과학(빅데이터)에서 사회과학자의 역할
데이터 과학자에 관한 묘사나 정의는 흔히 통계학자, 소프트웨어공학자, 그리고 사회과학자를 모두 포함한다. 자사의 상품이나 사회적 산물인 기업의 맥락에서는 특히 우리가 인간 혹은 사용자의 행위를 다루고 있을 때는 그것이 타당하다.그러나 드루 콘웨이(Drew Conway, http://drewconway.com/)의 벤다이어그램을 상기시켜 본다면 데이터과학의 문제는 여러 학문 분야를 관통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내용적 전문성(또는 실질적인 전문성)이 가리키는 부분이다.
출처 : http://drewconway.com/ [데이터 과학자 드루콘웨이]
사회과학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자들은 좋은 질문자들이다. 다르고 유용한 조사능력들을 가지고 있기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정략적인 분석능력, 프로그래밍 역량을 가진 사회과학자라면 보다 훌륭한 데이터과학자(빅데이터학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단지 온라인 사용자 행동을 다루는 전문가에 국한된다면 그것들은 거의 과거의 산물에 불과할 것이다. 이러한 분야는 전산사회과학(computerational social sciences)으로 불리는 신흥 분야도 있다.
'글지우기아까워서냅두는카테고리 > 글지우기아까운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아이 유치원 어린이집 보낼때 확인해야하는 사항-어린이집보험 (0) | 2015.03.27 |
---|---|
공무원 연금개혁 도대체 무엇을 위한 개혁인가요? (0) | 2015.03.25 |
이동통신사 왜 핸드폰 보조금에 집착하는가? (0) | 2015.03.25 |
구글 애드센스 계정 비활성화 통보와 새로운 광고에 대한 도입 (2) | 2015.03.24 |
우리가 잘 모르는 보험 체육시설 배상책임 보험 (0) | 2015.03.22 |